NAGA 프로젝트
AI CCTV 개발 융복합프로젝트
  카테고리 : Project Hashtag : #Python #Data_analytics #Ai #Iot #Cloud 
   
Bigdata, AI, IoT, Cloud 협업 프로젝트 - 데이터 분석 과정 중심
Bigdata, AI, IoT, Cloud 융복합 개발 프로젝트
- 기획배경 : K-digital 융복합 프로젝트 경진대회
- 주관 : 과학기술통신부,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
- 장소 : 멀티캠퍼스
- 팀원 수 : 6
- 결과 : 우수 프로젝트 수상
개발 제품
제품 : 무인점포 이상행동 인식카메라 NAGA

01. 용도
- 무인점포 내 이상행동 감지 및 원격 대처
- 사양 : AI 카메라 + 스피커+ 연기센서 + 모바일 연동
02. 기능
- 매장 내 Normal(아무도 없음), Standing(선 상태), Sitting(앉은 상태), Lying(누운 상태) 인식 가능 
- 감지 후 문자메세지 자동 전송 

- 모바일/웹으로 이미지 확인

- 경고음과 원하는 메세지 스피커 출력

03. 아키텍처 설계도

데이터 분석 과정
01. 개발 배경
01-1. 무인점포 수 전망
- 무인 편의점 수 증가- 2019~2021 무인편의점 수가 빠른 추세로 증가하고 있다.
 

- 최저시급 증가- 최저시급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.
 

01-2. 무인점포 문제점
- 무인점포 절도 현황(2019~2021.09)- 2021년도는 9월까지의 데이터만 합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급격히 절도 수가 증가하였다.
 

- 무인점포 불편 사항- 무인점포 업주 100명 설문 조사 결과 75%가 문제 발생 시 빠른 대응이 불가하다는 점을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 대답하였다.
 

- 여론 조사- 무인점포 문제점 관련 네이버블로그, 뉴스기사 크롤링 결과 ‘새벽’, ‘점령’, ‘아지트’, ‘청소년’ 등이 주요 키워드로 추출되었다.- 즉, 무인점포를 새벽에 아지트로 점령하는 것이 무인점포의 문제점이다.(관리가 어렵기 때문)
 
 
- 무인점포 문제점 관련 네이버블로그, 뉴스기사 크롤링 결과 ‘새벽’, ‘점령’, ‘아지트’, ‘청소년’ 등이 주요 키워드로 추출되었다.

01-3. 무인점포 관리 솔루션 현황
- 소상공인 무인점포 체인- 소상공인들이 운영하는 무인점포 체인점에는 특별한 보안 관리 관련 솔루션이 존재하지 않음 (키오스크, CCTV 등만 제공)
 

- 대기업- 대기이 운영하는 무인 편의점은 특별한 보안 관리 솔루션이 존재함
 

01-4. 결론
- 무인점포 전망- 무인점포는 증가하는 추세고,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인 최저시급이 2022년에도 증가할 예정임으로, 무인점포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다.
 
- 무인점포 문제점- 절도 수가 증가하고 있다.
- 문제 상황에서 빠른 대응이 불가하다.
- 관리의 어려움 때문에 무인점포가 새벽에 아지트로 점령되는 것이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.
 
- 무인점포 관리 솔루션 현황-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무인점포 체인점에는 특별한 보안 관리 솔루션이 부재하다.
 
따라서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무인점포 체인점의 보안 관리 솔루션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NAGA 개발!
02. 미래 공략 업계 선정
- 현재 무인화가 본격적으로 이뤄지진 않았지만, 무인화될 가능성이 높은 업계를 파악하여 NAGA제품이 발전되어야 할 방향성을 수립하기 위함
- 현재 무인점포가 위치한 영등포구 지역의 인구 특성, 나이 특성, 세대 특성, 부동산 특성 4가지 특성 데이터를 분석하여, 각 업계의 무인화될 가능성을 통계적인 방식으로 유추해보고 그 가능성을 ‘무인화 지수’ 라고 정의해 보았다.- 서울 전체로 하면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업종이 다양하고, 무인점포 수가 가장 많은 지역중 하나인 영등포구로 선정하였다.
 
02-1. 분석 데이터
- 종속 변수- 영등포구 각 지역의 무인점포 수
 
- 설명 변수
| 특성 | 데이터 | 출처 | 
|---|---|---|
| 인구 특성 | 인구수, 길단위 상존인구, 건물단위 상존인구, 주거인구, 직장인구, 버스정류장 수 | 우리마을가게상권분석서비스 | 
| 나이 특성 | 유년층, 청년층, 장년층, 중년층, 노년층 | 서울열린데이터광장 | 
| 세대 특성 | 1인 세대, 2인 세대, 3인 세대, 4인 세대, 5인 세대 이상 | 서울열린데이터광장 | 
| 부동산 특성 | 단독주택, 다가구주택, 영업겸용주택, 아파트, 연립주택, 다세대주택, 비거주용건물내주택, 면적(km2), 환산임대료(1층) | 서울열린데이터광장 | 
02-2. 각 특성 분석
- 회귀분석의 변수선택법을 통해 각 특성별 주요 변수를 추출하고, p-value 기준으로 변수 최종 선별(0.05미만) - 인구 특성- 인구수, 버스정류장 수
 
  - 나이 특성- 노년층
 
  - 세대 특성- 2인 세대
 
  - 부동산 특성- 아파트
 
  
- 인구 특성
- 최종 변수 : 인구수, 버스정류장 수, 노년층, 2인 세대, 아파트 
02-3. 무인화 지수
- 종속변수- 지역별 각 점포 수(패스트푸드, 노래방, 청과상, 반찬가게, 의류, 문구, 슈퍼마켓, 독서실, 서적, 화장품)
 
- 설명변수- 인구수, 버스정류장 수, 노년층, 2인 세대, 아파트
 
- 무인화 지수- 변수선택법 적용한 회귀분석 결과의 R-square 값
 

02-4. 결론
- 현재 무인점포가 위치한 지역의 인구특성, 나이특성, 세대특성, 부동산특성을 분석한 결과,
- 앞으로 NAGA 제품이 공략해야 할 top5 업계는 화장품, 서적, 슈퍼마켓, 문구, 패스트푸드 업계가 될 것이다.
